챕터 8. 경제 용어 요악하기
하루 10분 투자해서 경제 상식 늘리기 프로젝트!!
하루 10분 투자하여 매일 경제 상식을 쌓아가다 보면 어느새 경제 전문가가 되어 있을 것이다. 경제 공부를 시작하고자 마음먹고,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은 모두 부자의 첫걸음을 시작한 것이다.
기초 경제 상식을 높여주는 경제 용어를 정리하고자 한다. 앞에서도 안내했듯이 최진기의 경제 상식 오늘부터 1일 내용을 가장 큰 틀로 참고하여 요악, 작성하고자 한다. 이 글을 읽은 모든 분들이 경제 상식 전문가가 되길 바랍니다.
경제 용어 33. <공급의 가격 탄력성>
공급의 가격 탄력성은 가격의 변화에 따른 공급량의 변화율이다. 공급 가격 탄력성의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사과 한 박스에 2만 원일 때 100박스를 시장에 공급했다. 근데 면절을 앞두고 박스당 3만 원으로 오르자 120박스를 공급했다. 사과 공급의 가격 탄력성을 구하면 0.4이다. 가격이 1만큼 오르면 공급량이 0.4만큼 늘어난다는 것이다.
옷, 노트북 등 공산품은 가격이 오르면 공급량을 늘리기가 쉽다.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것이다. 반면 쌀, 사과 등 농축산물 등은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작다. 가격이 오른다고 금방 공급을 늘릴 수 있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숫자로 나타낼 수 있으며 공급의 백분율의 변화에 대한 가격의 변화의 비로 정의한다. 만약 값이 1 미만이면 공급은 비탄력적이고, 1 초과하면 탄력적이라고 할 수 있다. 값이 0일 경우에는 공급량이 가격 변화에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공급량은 고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공급의 가격탄력성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
수요자는 가격이 변하면 비교적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지만, 생산은 가격 변화에 대응하는 데 다소긴 시간이 소요된다. 이로부터 공급의 탄력성은 ‘단기간 생산량 변화 가능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주택과 같은 경우 가격이 올라도 단기간에 공급을 증가시키기 어렵다.
올해 소비자들이 더 많은 수박을 원하기 때문에 공급을 증가시키려 해도 이미 경작지와 수확량은 정해져 있다. 이처럼 주택이나 농산물은 생산량을 단기간에 쉽게 조절하기 어려워 공급의 가격 탄력성이 매우 작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공산품은 근로자 추가 채용, 조업시간 연장 등을 통해 생산량 증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농산물에 비해 단기공급이 더 탄력적이다. 한편, 농산물이건 공산품이건 간에 장기에는 시설변화·신규기업의 진입과 퇴출 등의 변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장기 공급 탄력성이 단기에 비해 더 크다 (KDI 경제정보센터,『경제, 이것이 궁금해요』, 교보문고, 2009.).
경제 용어 34. <수요/공급의 법칙>
우리가 구입하는 물건의 가격은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된다. 자본주의 경제를 시장경제라고 하는데 수요, 공급, 가격이 시장에서 결정된다고 해서 시장경제라고 한다.
수요/공급의 법칙은 가격이 오르면 수요는 줄어들고 공급은 늘어나는 것이다. 가격은 이처럼 시장경제에서 수요와 공급을 조절하는 보이지 않는 손의 역할을 한다. 가격이 오르내림에 따라 수요와 공급이 조절되면서 새로운 균형가격이 만들어지고, 그 가격에 팔 수 없는 기업은 경쟁에서 도태된다.
그런데 보이지 않는 손의 역할이 항상 완벽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난 시기 아파트 가격이 계속 오르자 수요가 줄어들기는커녕 가계는 융자를 잔뜩 지고 투자에 나서고 기업들은 아파트 공급에 열중했다. 우리 사회의 자원이 부동산시장으로 몰려 과잉공급이 된 것이다. 돈이 더 좋은 재화와 서비를 생산하는 곳으로 효율적으로 배분되지 않았던 것이다.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경제 상식 용어 10] 규모의 경제 / 한계비용 / 한계수익/ 가격 차별화 / 최진기의 경제 상식 (3) | 2023.10.27 |
---|---|
[기초 경제 용어 9] 국제수지표 / 국제지수표의 구성 / 국제지수의 균형 (12) | 2023.10.26 |
[기초 경제 용어 7] 탄력성 / 수요의 가격 탄력성 / (12) | 2023.10.25 |
[기초 경제 상식 용어 6] 공급 / 공급이 법칙 / 최진기의 경제 상식 (4) | 2023.10.25 |
[기초 경제 용어 5] 수요 / 대체재 / 기펜재 / 보완재 / 정상재 / 젠트리피케이션 / 최진기의 경제 상식 (8) | 2023.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