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상식

[기초 경제 상식 1] 경제학/희소성의 원리/기회 비용/매몰 비용 / 최진기의 경제상식 챕터 1

하루 10분 투자해서 경제 상식 늘리기 프로젝트!! 

하루 10분 투자하여 매일 경제 상식을 쌓아가다 보면 어느새 경제 전문가가 되어 있을 것이다. 경제 공부를 시작하고자 마음먹고,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은 모두 부자의 첫걸음을 시작한 것이다. (축하드립니다. 짝짝짝)

 

최진기의 경제 상식 오늘부터 1일 / 기회비용

 

챕터 1. 핵심 용어

 

경제학, 희소성의 원리, 최소비용/최대비용, 합리적 선택, 기회비용, 매몰비용, 매몰비용의 함정

 

"최진기의 경제 상식 오늘부터 1일" 책(수마트 북스)을 챕터별로 요약하며 경제 상식을 쌓아 가려한다.

교양경제상식 500개가 다뤄진 책이다. 이 책에서 다뤄진 경제 용어를 함께 공부해 보자. 

 

경제 상식 용어 1. <경제학> 

 

경제학은 선택의 기술을 가르치는 학문이다. 

여러 선택지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해야 가장 유리할까?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생각의 틀을 키워주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 상식 용어 2. <희소성의 원리> 

 

사람의 수요에 비해 특정 대상이 제한되어 있거나 부족해서 모두의 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상태이다.  말 그대로 원하는 사람은 많은데 드물고(稀) 적은(少) 것을 뜻한다.

 

우리가 선택의 문제에 부닥치는 것은 희소성의 원리 때문이다. 인간의 욕망은 무한한데 이 욕망이 충족시켜 줄 돈과 시간 같은 자원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경우이든 하나를 선택하면 다른 하나는 잃게 되어 있다.

 

경제 상식 용어 3. <기회비용>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포기하는 가치 중 가장 큰 것이다. 편익이 기회비용보다 크면 합리적 선택을 한 것이다. 반대로 편인보다 기회비용이 크다면 비합리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선택하지 않은 대안들 중 최선책에 대한 비용과 선택에 따라 발생한 비용의 합계를 의미한다. 경제학적으로 설명하자면 A라는 선택을 하면서 소모된 비용을 '명시적 비용(회계적 비용)'으로, A라는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된 잠재적인 비용을 '암묵적 비용'이라고 한다. '기회비용'은 명시적 비용과 암묵적 비용의 합으로 나타난다. 기회비용이 고려되는 이유는 선택하지 않은 대안의 대체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수많은 선택을 하게 된다. 선택의 순간이 왔을 때 기회비용을 잘 고려하여 선택한다면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된다.

 

경제 상식 용어 3. <매몰비용>

 

매몰비용은 이미 지출해서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이다.. 매몰비용 때문에 이미 실패한 또는 실패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에 시간, 노력, 돈을 투자하는 것을 '매몰비용의 오류'라고 한다.

매몰비용의 함정은 미래에 이익보다는 손해를 볼 것으로 예상되는데도, 지금까지 들인 매몰비용이 아까워서 사업을 포기하지 못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가 유럽과 미국을 잇는 가장 빠른 비행기로 일컬어진 콩코드여객기이다. 전문가들은 1962년 개발 초기부터 높은 연료비, 적은 좌석수, 비싼 항공료 때문에 수익성이 떨어진다고 지적했었다. 하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매몰비용과 자존심 때문에 무리하게 운항을 시도했다. 결국 2003년에 적자를 견디지 못하고 사라졌다.

 

주식을 시작하고 여러 종목을 소유하고 있다. 그중 어느 종목은 더 큰 손해가 되기 전에 매도를 해야 하는데 여전히 가지고 있는 종목이 있다. 본전 생각에 주가가 상승하기만 기다리다가 손실을 키우는 매몰비용의 함정에 빠진 것이다.

 

경제를 알면 매몰비용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조금 더 현명한 판단과 선택을 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출처: 최진기의 경제상식 오늘부터 1일